top of page
ccc.png

“I can think infinity. But I can’t count up to one hundred thousand.”

“나는 무한을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나는 10만까지 셀 수 없다”

                                                                                                            -Morton, Timothy (2013). Hyperobjects

전지구적 기상현상, 양자요동, 우주선(cosmic rays) 분포, 세계 도처에서 반복재생되는 디지털 오디오 샘플들...  이 세상의 대부분의 현상들은 우리의 인식작용(noesis)의 한계 범위를 넘어서 증식하고 분포하고 있다.

 

우리는 무한은 상상할 수 있지만, ‘막대한 유한’의 규모를 가지는 현상은 상상하기 힘들며, 그 부분으로서만 감각하거나 파악할 수 밖에 없다. 이는 극대 방향 뿐만 아니라 극소 방향으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무수한 센서들과 데이터, 수학 공식들로 무장한 기계가 대신 그 전체 현상들을 분석, 정규화, 요약 그리고 전달해 주는 지금, 우리는 전체로서의 극소 또는 극대의 초객체를 흐릿하게나마 감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본다.

그것을 통해 우리는 범인이지만 과거 기준 초인의 통찰력을 가지게 되어 가는 중이라고 생각한다면, 또한 그것으로부터 새로운 종류의 혁신적인 시적 영감이 발생할 수 있을까?

 

이 프로젝트에서는 3개의 시리즈 작품을 통해 초월-증식-분포와 인간의 일반적 인식범위 밖에 있던 정보를 감각하는 것을 통해 발생하는 초인식작용(hyper-noesis)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1.png

류필립, 〈천둥 동시성〉                        전 기간, 문화역 284, 1
금속판, 모터, 공명 및 우퍼 스피커, 콘택트 마이크, LED 조명, 각 220×100×100cm 

이 작품은 현재 전 지구에 걸쳐 발생하는 천둥을 부분이 아닌 그 전체 객체로서, 
즉, 모두 동시에 감각하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에 대해 탐구한다. 

특수 타악기인 썬더 시트(thunder sheet)를 닮은 9개의 금속 판들은 세 개씩 그룹을 지어: 입장했을 때 기준 왼쪽이 아시아, 가운데가 유럽/아프리카, 그리고 오른쪽이 아메리카를 담당한다. 전지구적 기후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을 이용해, 현재 지구 어딘가에서 번개가 발생하면 전시장의 대응되는 3개의 조명 중 하나가 점멸한다. 또한 약간의 시차를 두고 해당 장소를 담당하는 금속 판 3개 중 한개가 울리며 작은 천둥소리를 만들어낸다. 

작가는 어렸을 때 부터 지금까지 천둥 소리 및 번개현상의 극적인 분위기를 좋아해 왔다. 그러나 그 청-시각적 경험을 엔터테인먼트로서 즐길 뿐, 원시인들과 같이 그것을 숭배하거나 초자연현상으로서 두려워 하지는 않는다. 이처럼 인류의 인지력 확장에 따라 천둥은 더이상 초자연현상이 아니게 되었으며, 그 객체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다고 할 수 있다. 작가는 테크놀로지를 통해서 앞으로도 유사한 일들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미래에 진보된 테크놀로지를 통해 인간 감각이 더욱 확장되었을 때, 마침내 전지구의 천둥이라는 객체를 일부분이 아닌 전체로서 이해하고 더욱 활발히 미적으로 탐구하게 될 수 있을지에 대한 물음을 던지고자 한다.
 

image.png
2.png

류필립, 〈극대 극소 정규화〉               전 기간, 문화역 284, 2
3채널 비디오, 컬러, 4채널 사운드, 양자난수생성기,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우주선 검출기, 가변크기

이 작품은 서로 극단적으로 다른 규모를 가지는 현상들 간의 ‘숨겨진 사태 (a hidden state of affairs)’를 탐구한다. 

이 작품의 양자난수생성기에서 발생하는 극소의 양자영역 현상과 우주선 검출기 신호의 기원인 우주 천체의 거시적 활동은 인간 세계와 분리되어 있다. 이 정보들은 절대 인간이 자신의 의도대로 컨트롤 할 수 없다. 인간 세상에서 아무리 분란과 노이즈를 만들어 낸다 하여도, 천구는 그대로 자신의 우아하고 순수한 곡선을 그리며 움직이고, 양자는 원래 자신이 하던 그대로 요동한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에 영향을 끼지치는 못해도 존재를 알고 감각할 수 있게 되었다.

해당 세계로부터 온 정보들은 지금 이 작품에서 테크놀로지의 힘을 통해 정규화되어 물성(materiality)을 부여받고 흥미로운 청-시각 패턴을 만들어내게 된다. 그 사이에 인간이 직관으로 파악하기 힘든 거대한 객체지만 물리적으로 조금씩 변화시키고 있는 현실 세계 즉, 지구 표면 촬영 실시간 영상이 존재하고 있다. 

극단적인 규모 차이 때문에 같은 법칙과 동급의 강도로서 관계될 수 없는 이 세 가지 세상들은 테크놀로지의 힘으로 지금 이곳에서 만나, 관람객의 초인식작용(hyper-noesis) 속에서 병치되고 연관되어 조화로운 패턴을 만들어 낸다. 이는 ‘숨겨진 사태’를 인지하게 된다고 부를 수도 있고, 동양철학에서 명상을 통해 얻고자 했던 깨달음과 맥락을 같이한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image.png
3.png

류필립, 〈증식적-반향적 진동〉                11월 25일, 문화역 284, 1

렉처 퍼포먼스, 1채널 비디오, 컬러, 2채널 사운드, 약 12분                         

인공지능기반 소리 재생산 프로그램을 이용한, 무한 재생산을 다룬 퍼포먼스 작품이다.

 

이 퍼포먼스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사운드는 작가가 개발한 디퓨전 모델(diffusion model)기반의 미세변주(micro-variation) 알고리즘과, 기존에 존재하는 물리 공간 울림 재현 시스템을 이용해 계속해서 재생산되며 음악적 패턴을 만들어간다. 그와 동일한 원리로 작가가 입력하는 이미지 또한 계속 재생산되며 변주된다.

 

녹음 장비 개발 이전에는 동일한 사운드가 두 번 발생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스피커, 매질, 공간 등에 내재된 카오스(chaos) 원리가 우리를 완벽히 똑같은 사운드를 두 번 듣는 것을 여전히 불가능하게 만들지만, 같다고 느껴질 만큼 유사한 소리를 우리는 언제든 다시 들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사람들의 듣는 환경은 모두 다르고, 원래는 동일하였던 사운드들은 끊임없이 듣는 오디오 시스템과 공간의 특성에 따라 변형된다. 이와 같은 사실을 오마쥬(homage)하고자 이 퍼포먼스에서는 하나의 사운드로부터 파생된 객체들을 다시 모아서 들으면 어까에 대해 다룬다. 예를 들면, 인터넷 방송을 통해 사용자들이 들은, 그들의 공간에 울렸던 모든 ​내 목소리를 다시 합쳐서 들어보면 어떨까에 대해 상상하고 시뮬레이션 하는 과정을 소재로 작품을 진행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가상 소리 초객체를 만들어 가는 과정을 통해 소리의 무한 재생산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image.png
bottom of page